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여행동행님의 프로필 이미지

작성한 질문수

스프링 핵심 원리 - 고급편

this, target

this와 target 차이

작성

·

165

0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
(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
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
(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

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
=========================================
[질문 템플릿]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질문 내용]


안녕하세요. 선생님.

덕분에 인강을 통해서 스프링에 대해서 깊은 이해와 함께 학습을 하고 있습니다. 매우 감사드립니다.

영상 강의를 듣던 중에 this 와 target 의 차이를 공부하던 중에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습니다.

MemberServiceImpl 구체 클래스 지정**

this(hello.aop.member.MemberServiceImpl) : proxy 객체를 보고 판단한다. JDK 동적 프록시로 만

들어진 proxy 객체는 MemberService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구현된 새로운 클래스다. 따라서 MemberServiceImpl 를 전혀 알지 못하므로 AOP 적용 대상이 아니다.

target(hello.aop.member.MemberServiceImpl) : target 객체를 보고 판단한다. target 객체가 MemberServiceImpl 타입이므로 AOP 적용 대상이다.


이 분에서 이해가 되지 않는 것이 있습니다. 스프링 AOP는 프록시 기반의 AOP를 구현하고 있으며, 스프링 컨테이너의 관리 하에서 프록시 객체를 기반으로 AOP를 적용한다고 이해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프록시 생성 방법은 JDK 동적 프록시(인터페이스 기반 구현 프록시)와 CGLIB(구체 클래스 기반 상속 프록시) 를 통해 알고 있습니다. this 와 target 지시자를 사용하면,

this 는 결국 런타임에서 동적으로 생성된 프록시를 대상으로 aop를 적용하는 것이며, 이때 프록시는 JDK 동적 프록시와 CGLIB 중에 생성된 것을 대상으로 한다고 이해하고 있습니다.

target 은 실제 대상 객체를 호출하는데, 대상 객체는 프록시 아닌데 어떻게 aop를 적용하는지 이해가 안됩니다.

답변 2

0

김영한님의 프로필 이미지
김영한
지식공유자

안녕하세요. 여행동행님 🙂

도움을 드리고 싶은데 질문이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이 내용이 이해가 어렵다면, 우선은 넘어가시고, 이번 강의 마지막 안내 부분에 설명드린 것 처럼 뒤에 나오는 스프링 AOP 실무 주의 사항에서 프록시 기술과 한계까지 듣고 다시 들어보면 더 이해가 쉬울 거에요.

감사합니다.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여행동행님께서 질문하신 this와 target 차이에 대해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는 관련 질문 링크를 찾았습니다. 질문하신 내용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부분을 포함하고 있으니, 아래 정보를 통해 이해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this 질문드립니다.

질문자는 this 표현식의 적용 방식에 대해 궁금해 하며, 특히 프록시가 생성되는 과정과 this 표현식의 적용 시점에 대한 이해가 어렵다고 언급합니다. 프록시 생성과 관련하여 어떻게 this를 판단할 수 있는지에 대한 설명입니다.

스프링 AOP에서 this 지시자는 프록시 객체를 기준으로 하여 판단되며, 보통 JDK 동적 프록시나 CGLIB 프록시 중 하나를 사용하여 실제 인스턴스의 메서드 호출을 위임합니다. 여기서 this는 프록시 객체 자신을 가리키기 때문에, 인터페이스 타입의 프록시 객체가 생성되었다면 this는 해당 인터페이스 타입을 기준으로 판단됩니다.

반면에 target 지시자는 실제 대상 객체를 기준으로 합니다. 즉, target을 사용할 때는 프록시가 아닌 실제 대상 객체의 타입이 고려되어 AOP가 적용됩니다. 이는 프록시 객체 내부에서 실제 대상 객체를 참조하여 대상 객체의 메서드 실행 전후로 추가적인 동작(AOP가 적용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스프링 AOP의 프록시 방식과 관련하여, 주로 사용되는 두 가지 방식(JDK 동적 프록시와 CGLIB 프록시)이 있습니다. JDK 동적 프록시는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프록시를 생성하는 반면, CGLIB는 클래스를 상속받아 프록시 객체를 생성합니다. 따라서 thistarget 지시자의 적용과 이해는 프록시 생성 방식의 선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