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368
1
강의를 듣고 다른분들도 그렇고 저도 그렇고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있어서 다른분들도 보고 이해할수있도록 최대한 자세하고 쉽게 정리해봤는데 ,맞게 이해했을까요?
주제는
-servlet의 동작원리
-spring container는 어떻게 생성이되었는지
-dispatcherservlet가 singleton으로 관리된다고했는데 그러면 spring container와 어떤연관이있는지
-servlet 동작원리
1.web brower에서 요청을받고 web server에 넘겨준다음 WAS에 web server에 넘겨주어 servlet container에 service()가 요청을 처리하고 was의 web server에서 반환을 해주어 응답을 해준다
-spring container의 생성과정
1.web application을 실행하면 spring boot에서는 web.xml파일을 생성하고 web.xml파일안에
큰 틀에서 보자면 <param>~</param>부분은 root webapplicationcontext로 <servlet>~</servlet>부분은 web applicationcontext로 나뉘게 되는데 그 이유는 2-layered 아키텍쳐로 presentation Layer와 business Layer로 나뉘어서 개발하게 되기때문이다.
2.web.xml파일에 ContextLoderListenr가 applicationcontext.xml 또는 root.xml을 로딩하여 applicationcontext(=spring container)를 만들고 1번에서 언급한 business layer에 필요한 DAO 등 설정을 함으로써 applicationcontext를 생성한다.
여러정보를 찾아볼때 xml으로만 tomcat이 구현될때 servlet context와 application context가 생성이 되는줄알았는데 spring boot 3.0? 이상부터 WebApplicationInitializer
구현 + AnnotationConfigWebApplicationContext
으로 지원한다고 하여 spring container의 생성과정도 맞지만 더 최신버전으로도 설명하겠습니다.
public class WebInitializer implements WebApplicationInitializer{
@Override
public void onStartup(ServletContext servletContext) throws ServletException {
...
AnnotationConfigWebApplicationContext context = new AnnotationConfigWebApplicationContext();
context.setConfigLocation("com.studyspring.basic.config");
ServletRegistration.Dynamic dispatcher = servletContext.addServlet("DispatcherServlet", new DispatcherServlet(context));
dispatcher.setLoadOnStartup(1);
dispatcher.addMapping("/");
...
...
}
}
1)톰캣을 실행하면 servlet context를 초기화하고 생성해야하는데 tomcat을 실행하면 tomcat이 webapplicationinitializer를 구현한 클래스를 먼저 찾게됩니다.
2)찾고나서 onStartup메소드를 실행하여 Annotationconfigwebapplicationcontext를 통해 applicationcontext를 만들게됩니다.
-dispatcherservlet의 생성과정
dispatcherservlet같은경우 servlet context가 생성되는 시점(=생성되는 시점도 lazy loading과 pre loading에 따라 달라집니다)에 만들어집니다.
(dispatcherservlet은 궁극적으로 servlet이며, servlet은 동적 웹페이지를 만들때 사용되는 웹 프로그래밍 기술입니다. 이모양은 우리가 spring mvc에서 똑같이 볼수있었고 영한님 강의에서도 servlet로 spring mvc를 구현했었습니다. 하지만 하나하나 구현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았고 이걸 spring boot에서는 간편하게 지원해주기 때문에 spring은 곧 servlet를 쓰기위한 하나의 servlet로 이해할수있습니다. )
-bean은 도대체 왜 나왔으며 servlet container와 spring container는 다른건데 어떻게 쓰이지?
위에 코드를 보면 Dynamic dispatcher = servletcontext... 이라고 선언된 부분이 있을텐데 dispatcher은 결국 servlet이고 servlet container에서 관리하는 객체입니다. 저문장의 뜻은 dispatcher을 context(=servlet container)에서 사용하기위해 등록한다는 의미이며 servlet container에서 dispathcerservlet를 spring container에게 보내주어 spring container에서 spring boot가 편리하게제공해주는 기능을 바탕으로 rendering을 한후 다시 return을 해서 dispathcerservlet는 servlet container에 속해있으므로 servlet container가 client에게 view를 보여줍니다.
결국, dispathcerservlet이 spring container에게 보내주어 bean으로 등록되어 spring container가 관리하는 객체가 되고, 결국 싱글톤으로 관리가되며 servlet이 올때마다 같은 인스턴스를 가지고있는 객체로 인식되어 재사용이 가능한 상태로 남게됩니다.
최종적으로 지금까지한 설명을 그림에 빗대어서 마무리하겠습니다. 처음에 설명했던 servlet webapplicationcontext와 root webapplicationcontext는 2-layer 아키텍처로 구현된 모습이며 철저히 구현과 역할이 나누어져있습니다. dispatchersevlet은 spring container가 생성이되고 servlet container에서 사용할수있게 만들어졌고 그로인해 접근이 가능하다. 한객체의 레퍼런스를 두개의 컨테이너에서 들고있어도 문제가 없다는것을 알게되었습니다.
정리후 저의 개인적인 질문입니다!
spring container에서 생성이되고 servelt container에서 사용이 됩니다. 하지만 dispatcher servlet은 궁극적으로 servlet이고 관리가 되는 컨테이너는 servlet container라고 생각이되었습니다. 하지만 dispatcher servlet은 싱글톤으로 관리가 되고 인스턴스를 공유할수있다는점에서 spring container와 연관이 있지않나라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destory()라는 메소드를 가지고있고 외부에서도 소멸될수있어서 dispatcher servlet이 어떤 container에서 관리가 되는지 궁금합니다
아하 혹시 그러면은 dispatcherservlet은 spring context에서 생성이되기만하고 생성과 소멸에는 관리되지않는건가요?? 또한, distory()메서드를 가지고있던데 소멸되는 시점에도 servlet container에서 관리가 되는거겠죠?? 항상 답변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