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자 없음
작성자 정보가 삭제된 글입니다.
해결된 질문
작성
·
454
3
합의 프로토콜은 철저하게 프라이빗체인이고, 체인을 이용한 여러 트랜잭션생성은 퍼블릭하게 오픈한게 클레인튼인데 합의프로토콜에 참여한 소수의 노드에게 블록생성할때마다 보상을 준다는게 좀 이상한것 같습니다.
카카오톡측에서 뭐 이정도면 신뢰할수있는 기업이다 뭐니어쩌고저쩌고해서 합의노드를 선출만하면 그 세끼들은 계속해서 블록보상을 독점하는거잖아요 이거 뭔가 이상해도 한참이상한것같은데...
도대채 보상시스템을 왜 만들었는지 이해가안됩니다
답변 4
5
네 저도 동의하는 부분이 몇군데 있기는 합니다. 하지만 하이퍼레져 패브릭도 탈중앙성을 어느정도 포기하고 대신에 성능에 포커스를 두었지만 현재 많은 국가 정부/민간기업에서 패브릭을 기반으로한 앱을 많이 사용하듯이 클레이튼도 클레이튼의 특성을 필요로하는 수요가 분명 있을 겁니다.
저도 이더리움의 굉장한 팬인데 이더리움 2.0이 제가 기대하는 성능까지 나올지는 모르겠습니다. 분산화를 살린 상태에서 확장성 문제까지 완벽히 해결하여 사용자 경험을 엄청 끌어올렸다면 클레이튼을 위협할 수 있을 것 같네요. 하지만 샤딩 기술이 엄청 어렵고 복잡한 기술이기 때문에 이더리움 2.0이 클레이튼의 사용자 경험을 위협할만큼의 성능이 나올지는 예측하기 힘드네요. 개인적으로는 기대치만큼 성공하면 좋겠습니다. 어쨌거나 클레이튼이 이제 막 스타트를 끊었고 클레이튼을 기반으로한 많은 대규모 비앱들이 하나 둘씩 나오고 있으니 사용자들이 어떻게 판단할지 지켜보는게 나을 것 같습니다. 현수님의 건설적인 비평 감사합니다. 제가 클레이튼 관계자가 아니라 유통구조에 대해 공식문서 이상으로는 더 정확하게 설명해 드릴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5
안녕하세요. 공식문서를 통해 유통구조를 좀 알아보았습니다.
합의노드들만 보상을 독점하는것이 아니라 세가지 단계로 나눠지네요.
매번 새로운 블록이 생성될 때마다 아래와 같은 퍼센티지로 배분이 됩니다.
1. Klaytn Governance Council Reward: 34%
2. Proof of Contribution (PoC): 54%
3. Klaytn Improvement Reserve (KIR): 12%
참고로 블록하나마다 9.6 KLAY를 생성하게 되는데
여기서 34%만 합의노드들에게 돌아가고 나머지는 PoC와 KIR로 비축이 됩니다.
PoC는 두가지로 분류가 되는데 첫번째는 비앱 서비스 제공자 두번째는 비앱을 이용하는 사용자입니다.
54%의 퍼센티지로 비축이 된 KLAY가 나중에 서비스 제공자와 사용자에게 돌아가게 되네요.
KIR은 클레이튼의 생태계 확장에 기여한 분들에게 돌아가는 KLAY입니다.
뭐 어떤 툴을 만들었다던지 meetup이나 이벤트를 통해 활성화/홍보에 기여했으면
KLAY를 12%의 비율로 주게 되네요.
우리와 같은 일반인(?)들은 비앱을 열심히 이용해서 인센티브로 얻는 보상이 현재로는 제일 현실성 있어 보입니다. 어쨌거나 중요하게 생각하셔야 할 것이 클레이튼이 이더리움처럼 분산화에 초점을 두어 모든 사람들이 보상을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둔 블록체인 플렛폼이 애초에 아니라는 겁니다. 공평성과 자율성보다는 사용자 경험을 더 우선시하는 플랫폼입니다. 속도/편리함과 저렴한/공짜 트랜잭션 비용을 더 중요시한다는거죠. 이러기위해서는 아무래도 합의 알고리즘을 프라이빗하게 할 수 밖에 없고 빠른 속도를 제공해주는 엄청난 컴퓨팅 능력/하드웨어를 무리없이 돌릴 수 있는 사람은 일반인보다는 큰 기업이 적절하겠죠. 그렇기에 소수의 기업들이 일단 먼저 합의노드로써 참여하는 것입니다. 참고로 저도 보상 참 좋아합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블록체인 앱들이 많이 대중화되지 않아 더 성장하지 못하는 이유도 아마 사용자 경험보다 보상을 더 우선시하여 탄생한 플랫폼들이 많기 때문인 것 같기도 합니다. 결론은 보상을 좋아하면 다른 분산화된 플랫폼을 사용하면 되고 사용자 경험을 더 우선시하면 클레이튼을 사용하면 될 것 같습니다. :)
1
1